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 - 중국에 대해서~

by Minimal_soso 2023. 1. 31.
반응형

 

복건성 영정 토루-중국의 5대 민가 건축물

중국의 목조 건축

목조건축물을 만드는 중국 전통 건축 기술은 특정한 자연환경, 건축 자재, 기술 수준 및 사회적 이념과 상호작용하면서 중국인이 만들어온 역사의 산물이다. 중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전통 건물 기법으로 지은 건축물과 공간에 세대를 거쳐 살아왔으며, 전통 건축 기법은 이제 중국인에게 문화적 정체성이자 일종의 상징이 되었다.

전통적인 중국 목조건축물에서 가장 중요한 건축 재료는 목재이다. 중국 목가구도 건축은 대목작제도(大木作制度)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는 목조 장식·기와·석공·단청 등 다른 주요한 작업 부분을 포함한다. 주요 목제 부품인 기둥·들보·중도리·상인방·까치발은 전체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골격이다. 기원전 2세기 한(漢) 왕조 시대에 2가지 주요한 골조가 개발되었다. 하나는 가구식(架構式)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보-기둥 구조이다. 정종욱은 장부이음으로 연결되어 구조의 유연성이 좋아지고, 내진성이 향상된다. 목제 부품을 사전에 제조하여 건축 부지에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사 기간이 상당히 단축되기도 한다.

 

중국의 목가구도 건축

전통 목가구도 기술은 지혜와 장인 정신의 유산을 구현하며, 전통 중국 사회가 대대로 이어온 자연과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여준다. 이러한 건축 방식을 보존해온 목수와 장인, 그리고 그들이 지은 공간에서 세대를 이어가며 살아온 이들에게 전통 목가구도 건축물은 중국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핵심적인 시각적 요소이며, 아시아의 대표적 건축 양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 전통 목가구도 건축 기술은 중국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베이징(北京)·장쑤성(江蘇省)·저장성(浙江省)·안후이성(安徽省)·산시성(山西省)·푸젠성(福建省)과 소수민족이 사는 서남 지역에 위치한 목조건축물이 대표적이다.

중국 전역에서 볼 수 있는 전통 목가구조(木架構造) 건축물은 중국 건축 문화의 고유한 상징이다. 목가구조 건축물의 기둥·들보·중도리·상인방·까치발 등의 목제 부품은 장부(tenon, 건축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한 재료의 구멍에 끼울 수 있도록 다른 재료의 끝을 가늘고 길게 만든 부분) 이름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유연하고 지진에도 강하다. 이 놀라울 정도로 강한 구조의 건축물은 사전에 제작된 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부지 위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목가구조 건축물은 부속 목조 물을 지탱할 수 있는 독창적 설계를 기반으로 했으며, 이는 전통 기술이 지닌 지혜를 잘 보여주는 것이다. 이 목가구조의 건축 기술 속에는 옛 중국인의 우주관, 전통 중국 사회의 계층적 구조와 인간관계가 녹아 있다. 이러한 목가구조 기술은 중국 전역은 물론 일본과 한국 등 동아시아에서 7,000년 동안 지속되어 쓰였으며, 이 기술은 문화적 정체성과 서로 다른 민족 간의 관계를 증진하는 데 기여하였다. 전통 목가구조 기술은 고대 동양의 건축 기법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인류 모두에게 귀중한 무형 문화유산이다.

 

중국 건축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

19세기 후반부터 서양 건축 기술이 중국에 들어왔고, 이에 따라 중국 전통 목가구도 기술은 그 적용 범위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종사자들도 줄고 있다. 전통 건축 기술의 일부는 소멸하였거나, 또는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오늘날 전통 목가구도 기술은 사원과 궁궐을 전통적 양식으로 건축하는 데 쓰이거나, 또는 옛 건물을 수리하는 데 주로 이용된다.

건축 기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발전해왔다. 여러 건축 지침서, 예를 들면 송(宋)나라의 목공 규범과 건물 기준(영조법식(營造法式))이나 명(明)나라 때에 쓰인 후반(魯班 건축 규칙, 청(淸)나라의 건축 기준, 현대의 건물 원칙 등은 각 시대와 지역의 기술적인 발전을 기록하고 요약한 것이다. 중국 건축 장인들은 지난 수천 년 동안 건축에 대한 풍성한 경험을 축적해왔다. 이들의 고유하고 체계적인 방법과 기술은 금기와 문화적 의례에 대한 고려 이외에도 골조의 양식, 각 부분의 제조 방법, 연결부와 세부 처리 등에서 나타난다. 이 문화유산의 전수자인 장인들은 목수·기와공·석공과 같이 서로 다른 유형으로 분류된다. 건축 기술은 수 세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스승 - 도제 방식으로 전승되어왔다.

중국의 전통 가옥

가옥의 구조를 살펴보면 동서남북은 방으로 둘러싸고, 중앙에는 네모난 정원을 두었다. 하지만 이것도 각 지역의 지리적 조건에 맞게 형태나 그 기능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면, 기온이 낮은 북부 지역의 쓰허위안은 정원을 크게 만들어 최대한 햇빛을 많이 받게 하였고, 기온이 높은 남부 지역의 쓰허위안은 정원을 작게 만들어 시원한 그늘을 확보하였다.

중국은 광활한 영토에 다양한 기후와 민족이 분포하고 있어 그에 따른 전통 가옥의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세상의 모든 가옥 형태가 중국에 다 모여 있다고 해도 될 만큼 중국의 전통 가옥은 지역적 조건 민족에 따라 각기 다르다. 중국의 전통 가옥은 기본적으로 북부 지방의 베이징을 중심으로 하는 한족의 쓰허위안 형식을 따르고 있다.

 

중국의 전통 가옥 - 토루

토루가 생기게 된 것은 사람들이 따로 떨어져 사는 것보다 같이 모여 사는 것이 더 나았기 때문이었다. 적들과의 싸움에 대비한 방어의 필요성 때문에 토루의 바깥벽을 보면 창문이 거의 없고 구멍 정도만 보인다. 객 가족은 토루 아래로 깊게 땅을 파서 땅속으로 굴을 파고들어 오는 적에도 대비했고, 대문 위에 물을 담아 불을 이용한 적의 공격에 대비하도록 했다.

토루의 가장 특이한 점은 바로 아파트와 같은 집단 주택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약 50미터인 원형의 토루에는 약 100여개의 방이 있고, 30~40가구가 지내며, 최대 200~300명까지 함께 살 수 있다. 객 가족은 이처럼 밖으로는 외적을 막고 안으로는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데 가장 적합한 주거 공간을 이루고 살았다. 중국 푸젠성에 남아 있는 토루는 그 독특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중국의 남부 지역에서는 쓰허위안 가옥의 기본 형식을 따르면서도 강한 햇빛을 피하기 위해 벽을 높이 쌓고, 집 내부에는 최소한의 햇빛만 들어오게 한 독특한 형태의 주택이 발전하였다. ‘토루(土樓)’라고 불리는 이 주택은 중국 객 가(Hakka-客家)족의 전통 가옥이다. 객 가족은 중국 남부 푸젠성과 광동성에 주로 사는 민족이다.

토루에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고대 중국의 우주관이 반영되어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건물이 들어선다. 원형 건물 가운데에는 우물, 식량 창고 등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시설물이 들어서고, 주민들이 축제 등을 여는 공동의 공간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이로써 이번 시간에는 중국건축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한국건축에서 배울 점도 무궁무진하지만 각 국가에서 배울 점도 많다는 걸 새삼 깨닫는 중이네요... 갈 길이 멀지만 유익한 시간을 보냈던 것 같습니다. 다음번에도 흥미로운 건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 신조형 주의에 대해서  (0) 2023.02.02
바로크 건축에 대해서~  (0) 2023.02.02
로마네스크 건축에 대해서~  (4) 2023.02.01
메소포타미아 건축  (0) 2023.01.31
건축의 역사에 대해,,,  (0) 2022.07.18

댓글